데살로니가에서 일어난 소동.
행17:1-9절, 256.257.258장.&
마게도냐의 수도인 데살로니가는 마게도냐에서 가장 큰 도시였습니다. 이곳은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 최고지휘관인 카산더에 의해 알렉산더 사후에 건설되었습니다. 이 도시를 위대하게 만든 가장 큰 요소는 이곳에 로마 도로인 에그나티아가 놓여 있었다는 점이었습니다.
사실 데살로니가를 관통해 도시의 주요통행로로 사용되었던 그 큰 도로는 아드리아해에서 중동까지 뻗어 있었습니다. 매우 성행했던 무역과 상업과 더불어 대도시에는 사회의 제반 악들도 번성하였습니다.
바울은 지금 이 영광스러운 복음의 소식을 가지고 이 도시에 돌어온 것입니다. 복음은 이제 전세계를 향해 급속도로 퍼져 나가게 될 것이었습니다.
1.설교자 바울은 복음을 증거하고 다니면서 진정으로 믿는 자들이 따라야 할 참된 본을 보여주었습니다.(1-2절), 1)그는 복음증거자로서 복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한 대적과 모진 핍박 가운데서도 주님을 위해 계속해서 일했습니다.
바울은 주님의 것이었고 복음을 전하라는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2)설교자 바울은 가는 곳마다 복음의 씨앗을 뿌렸습니다. 바울은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로 다녀갔습니다."
3)설교자 바울은 자신의 계획에 충실했습니다. 그의 계획은 현명했습니다. 그는 우선 성경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 유대인들과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방인들에게 먼저 다가가려고 했습니다.
2.그 메시지는 매우 중요했습니다.(2-3절), 그 이유는 사람이란 항상 자신이 무엇을 믿느냐에 따라 자신의 모습과 하는 모든 일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1)바울의 메시지의 근원과 권위는 성경이었습니다. 2)바울의 메시지의 내용은 세 가지였습니다.
a.그리스도의 죽으심. b.그리스도의 부활. c.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입니다. 3)바울은 회당에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이 말은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단지 3주 동안만 복음을 전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바울은 회당에서 나온 후에는 그를 환영하는 곳이면, 어느 집이든 가서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밤낮으로 일했었으며,(살전2:9), -빌립보교회로부터 여러 차례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으며.(빌4:16), -그곳 교회가 복음의 능력을 온 지경에 펼치도록 이끌었습니다.(살전1:8)
3.그 메시지가 전해진 후 많은 사람들이 믿었습니다.(4절),1)몇몇 유대인들이 믿게 되어 바울과 실라를 좇아 그리스도를 섬겼습니다. 2)수많은 독실한 헬라인들과 귀부인들이 믿었습니다.
4.메시지에 대한 세상의 반응이 있습니다.(5절), 복음에 대해 반대하는 사회의 세 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종교인들이었습니다. 2)할일 없이 빈둥거리며 문제를 일으키고 악한 일들을 도모하는 괴악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은 십게 선동되고 누구에게든 어떤 일에든 적대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정부와 종교지도자 들은 이렇게 게으르고 불량스러운 집단이 반대자들을 공격하는 음모에 이용하기 좋은 대상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3)평범한 시민들이었습니다. 그리스도께 대한 평범한 시민들의 반응이 여기에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무시했고 그분과는 전혀 관계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쉽게 영향을 받아 그리스도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을 방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을 고요케 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었습니다.
-이기적인 동기를 가진 사람들. -널리 퍼진 유언비어들. -전도자들에 대한 험담. -소요를 일으키기 위해 그릇된 말을 전해들은 사람들, -그리스도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에 대해 악하게 말한 종교지도자들입니다. 소문은 종종 하나님의 종을 공격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는 그리놀랄 만한 것이 아닙니다. 이 경우에는 설교자를 공격하는 사람은 바로 설교자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기독교 전도자들을 공격한 사람들은 유대교 설교자들이었습니다.
사람은 보통 다른 사람들에게보다는 같은 일을 하는 자신의 동료들에게 공격받는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흔히 시기와 질투 때문입니다.
5.설교자들과 그 메시지에 대한 고소가 있었습니다.(6-7절),무리들은 바울과 실라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바깥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바울은 야손이라는 사람의 집에 머무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무리들은 그와 다른 믿는 자들을 그 성의 관원들 앞으로 끌고 가서 두 가지 내용으로 고소했습니다. 1)그 고소내용은 그 메시지가 선동적이고 반역적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천하를 어지럽힌다고 했습니다. a.그 고소는 일면 옳기도 합니다. 복음은 생활을 변화시킵니다.
복음은 사람들을 죄와 수치로부터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고, 부도덕에서 순결함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b.그러나 그 고소는 고소자들의 말대로 하면 틀립니다. 그들은 그 메시지가 사회를 어지럽히고 공공질서를 위협하고 사람들을 소동케하며 그들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말했습니다.
2)그 메시지는 에수께서 왕이라고 주장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성경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 중의 하나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재림하는 것임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바울은 믿는 자들에게 이 영광스러운 진리를 가르쳐 왔습니다.
6.세상은 메시지를 듣고 두려워했습니다.(8-9절), 간단히 말해 그 성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지위와 권세. 존경과 인정. 권력과 통치. 부와 생업등을 잃게 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만일 또 다른 왕이 나타났다는 소식이 가이사에게 알려진다면 로마는 즉각 반응을 보여 그성의 지도자를 제거할 것이며, 그렇게 되면 그들은 모든 것을 잃게될 것이었습니다. 그 관리들은 틀림없이 그들 가운데 기독교인 왕이 출현하지 못하도록 감시할 목적으로 바울의 설교에 귀를 기울였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 전도자들(바울과 실라. 누가)을 다시는 그의 집에 묵지 못하게 하며 그들이 확실히 그 성을 떠나게 한다는 조건으로 야손을 풀어주었습니다. 눅9;23-24절에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코자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고 했습니다. 범사에 주님께 맡기는 삶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성도의 삶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행17:1-9절, 256.257.258장.&
마게도냐의 수도인 데살로니가는 마게도냐에서 가장 큰 도시였습니다. 이곳은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 최고지휘관인 카산더에 의해 알렉산더 사후에 건설되었습니다. 이 도시를 위대하게 만든 가장 큰 요소는 이곳에 로마 도로인 에그나티아가 놓여 있었다는 점이었습니다.
사실 데살로니가를 관통해 도시의 주요통행로로 사용되었던 그 큰 도로는 아드리아해에서 중동까지 뻗어 있었습니다. 매우 성행했던 무역과 상업과 더불어 대도시에는 사회의 제반 악들도 번성하였습니다.
바울은 지금 이 영광스러운 복음의 소식을 가지고 이 도시에 돌어온 것입니다. 복음은 이제 전세계를 향해 급속도로 퍼져 나가게 될 것이었습니다.
1.설교자 바울은 복음을 증거하고 다니면서 진정으로 믿는 자들이 따라야 할 참된 본을 보여주었습니다.(1-2절), 1)그는 복음증거자로서 복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한 대적과 모진 핍박 가운데서도 주님을 위해 계속해서 일했습니다.
바울은 주님의 것이었고 복음을 전하라는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2)설교자 바울은 가는 곳마다 복음의 씨앗을 뿌렸습니다. 바울은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로 다녀갔습니다."
3)설교자 바울은 자신의 계획에 충실했습니다. 그의 계획은 현명했습니다. 그는 우선 성경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 유대인들과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방인들에게 먼저 다가가려고 했습니다.
2.그 메시지는 매우 중요했습니다.(2-3절), 그 이유는 사람이란 항상 자신이 무엇을 믿느냐에 따라 자신의 모습과 하는 모든 일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1)바울의 메시지의 근원과 권위는 성경이었습니다. 2)바울의 메시지의 내용은 세 가지였습니다.
a.그리스도의 죽으심. b.그리스도의 부활. c.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입니다. 3)바울은 회당에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이 말은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단지 3주 동안만 복음을 전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바울은 회당에서 나온 후에는 그를 환영하는 곳이면, 어느 집이든 가서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밤낮으로 일했었으며,(살전2:9), -빌립보교회로부터 여러 차례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으며.(빌4:16), -그곳 교회가 복음의 능력을 온 지경에 펼치도록 이끌었습니다.(살전1:8)
3.그 메시지가 전해진 후 많은 사람들이 믿었습니다.(4절),1)몇몇 유대인들이 믿게 되어 바울과 실라를 좇아 그리스도를 섬겼습니다. 2)수많은 독실한 헬라인들과 귀부인들이 믿었습니다.
4.메시지에 대한 세상의 반응이 있습니다.(5절), 복음에 대해 반대하는 사회의 세 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종교인들이었습니다. 2)할일 없이 빈둥거리며 문제를 일으키고 악한 일들을 도모하는 괴악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은 십게 선동되고 누구에게든 어떤 일에든 적대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정부와 종교지도자 들은 이렇게 게으르고 불량스러운 집단이 반대자들을 공격하는 음모에 이용하기 좋은 대상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3)평범한 시민들이었습니다. 그리스도께 대한 평범한 시민들의 반응이 여기에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무시했고 그분과는 전혀 관계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쉽게 영향을 받아 그리스도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을 방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을 고요케 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었습니다.
-이기적인 동기를 가진 사람들. -널리 퍼진 유언비어들. -전도자들에 대한 험담. -소요를 일으키기 위해 그릇된 말을 전해들은 사람들, -그리스도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에 대해 악하게 말한 종교지도자들입니다. 소문은 종종 하나님의 종을 공격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는 그리놀랄 만한 것이 아닙니다. 이 경우에는 설교자를 공격하는 사람은 바로 설교자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기독교 전도자들을 공격한 사람들은 유대교 설교자들이었습니다.
사람은 보통 다른 사람들에게보다는 같은 일을 하는 자신의 동료들에게 공격받는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흔히 시기와 질투 때문입니다.
5.설교자들과 그 메시지에 대한 고소가 있었습니다.(6-7절),무리들은 바울과 실라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바깥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바울은 야손이라는 사람의 집에 머무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무리들은 그와 다른 믿는 자들을 그 성의 관원들 앞으로 끌고 가서 두 가지 내용으로 고소했습니다. 1)그 고소내용은 그 메시지가 선동적이고 반역적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천하를 어지럽힌다고 했습니다. a.그 고소는 일면 옳기도 합니다. 복음은 생활을 변화시킵니다.
복음은 사람들을 죄와 수치로부터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고, 부도덕에서 순결함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b.그러나 그 고소는 고소자들의 말대로 하면 틀립니다. 그들은 그 메시지가 사회를 어지럽히고 공공질서를 위협하고 사람들을 소동케하며 그들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말했습니다.
2)그 메시지는 에수께서 왕이라고 주장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성경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 중의 하나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재림하는 것임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바울은 믿는 자들에게 이 영광스러운 진리를 가르쳐 왔습니다.
6.세상은 메시지를 듣고 두려워했습니다.(8-9절), 간단히 말해 그 성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지위와 권세. 존경과 인정. 권력과 통치. 부와 생업등을 잃게 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만일 또 다른 왕이 나타났다는 소식이 가이사에게 알려진다면 로마는 즉각 반응을 보여 그성의 지도자를 제거할 것이며, 그렇게 되면 그들은 모든 것을 잃게될 것이었습니다. 그 관리들은 틀림없이 그들 가운데 기독교인 왕이 출현하지 못하도록 감시할 목적으로 바울의 설교에 귀를 기울였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 전도자들(바울과 실라. 누가)을 다시는 그의 집에 묵지 못하게 하며 그들이 확실히 그 성을 떠나게 한다는 조건으로 야손을 풀어주었습니다. 눅9;23-24절에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코자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고 했습니다. 범사에 주님께 맡기는 삶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성도의 삶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출처 : 3927Bible 말씀연구소
글쓴이 : 박봉웅 원글보기
메모 :